지능형반도체공학과(협동과정) (Department of Intelligent Semiconductor Engineering)
계열 및 과정 : 공학 계열 (석사과정/박사과정)
1. 학과 개요
본 학과는 지능형반도체 분야의 발전을 선도할 인재 양성을 위해서 2023년 신설되었다. 지능형 반도체 분야는 인공지능 기술과 결합되어서 급격한 기술적 진보가 이루어지고 있고, 이에따른 체계적 교육이 요구된다. 본 학과는 자연과학계열과 공학계열 교수진으로 구성된 협동과정의 대학원 과정으로서, 지능형반도체 분야의 융합인재 양성을 위해서, 지능형반도체와 관련된 소재, 소자, 공정, 시스템 전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수행한다.
2. 교육 목표
미래 반도체 산업을 선도할 융합형 인재 양성을 교육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 자연과학계열과 공학계열의 협동 과정으로 교육 과정을 구성하여, 기초와 응용 능력을 겸비한 혁신인재 양성을 교육 목표로 지향한다.
3. 교과 과정
fnctId=pdfView,fnctNo=136
Contents Index (선택하면 각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4. 교수 명단 (교수님 성명 클릭 시, 소속학과 홈페이지로 이동하여 상세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성명 | 소속학과 | 이메일 | 전공분야 |
---|---|---|---|
나태희 | 전자공학과 | taehui.na@inu.ac.kr | 반도체 집적회로 설계 |
송준영 | 전자공학과 | jun.song@inu.ac.kr | Analog Integrated Circuit, Wireline interface Design |
이영훈 | 전자공학과 | y.lee@inu.ac.kr | 전자구조계산, 반도체소자 |
정은교 | 전자공학과 | eungyo.jeong@inu.ac.kr | 프리폼 디스플레이, 기능성 박막 |
조환호 | 전자공학과 | hwanho@inu.ac.kr | 의료인공지능, 영상처리, 패턴인식 |
김준호 | 물리학과 | jhk@incheon.ac.kr | "반도체물리/소자, 태양전지, 멤리스터 소자" |
최수봉 | 물리학과 | sbchoi@inu.ac.kr | 표면플라즈몬, 나노광학, 원자현미경, 초고속 분광 분석 |
박승룡 | 물리학과 | abepark@inu.ac.kr | 응집물질물리, 고체분광학 |
박영미 | 물리학과 | ymb@inu.ac.kr | 테라헤르츠 시분해 분광학, 나노광학, 비선형광학 |
한강희 | 물리학과 | ganghee@inu.ac.kr | 2차원 물질 합성 |
문병희 | 물리학과 | bhmoon@inu.ac.kr | 응집물질물리 |
이진호 | 물리학과 | jlee@inu.ac.kr | 태양전지, 발광소자, 무기나노소재합성 |
이한보람 | 신소재공학과 | hbrlee@inu.ac.kr | 반도체공정 |
명재하 | 신소재공학과 | mjaeha@inu.ac.kr | 연료전지, 수전해, 가스센서, 개질촉매 |
강영호 | 신소재공학과 | youngho84@inu.ac.kr | 제일원리계산, 반도체 재료, 산화물 재료 |
장태후 | 신소재공학과 | thchang@inu.ac.kr | 반도체공정, 반도체분석, 전자재료 |
송영준 | 생명공학부 (생명.나노바이오) |
yjunsong@inu.ac.kr | 유전자회로, 차세대 저장매체, MEMS |
한상길 | 생명공학부 (생명.나노바이오) |
sanggilhan@inu.ac.kr | 바이오전자소자 |
김진호 | 화학과 | jinho@inu.ac.kr | 유기화학, 유기반도체 |
김경태 | 기계공학과 | kyekim@inu.ac.kr | 나노스케일 열 및 에너지 전달, 반도체 공정 |
권재성 | 기계공학과 | jsungkwon@inu.ac.kr | 유체역학(유동가시화 및 계측, 전산유체해석) |
박형범 | 기계공학과 | gamamle@inu.ac.kr | Multiscale simulations, Computational mechanics, Composite materials. |
신성수 | 기계공학과 | ssshin@inu.ac.kr | 전고체전지, 세라믹 연료전지, 계면 엔지니어링 |
김백진 | 기계공학과 | bjkim3091@inu.ac.kr | FEM, Structural Analysis, Vibration, Solid Mechanics |
이강주 | 기계공학과 | knjulee@inu.ac.kr | 바이오마이크로제작 및 공정, 초소형의료기기, 생체재료 |
김정호 | 기계공학과 | jungho@inu.ac.kr | 2차원 반도체 물성 및 소자 |
권오중 | 에너지화학공학과 | ojkwon@inu.ac.kr | 연료전지, 수전해, 전기화학, MEMS |
김준동 | 전기공학과 | joonkim@incheon.ac.kr | 광전기 소자, 태양 에너지 변환, 나노기술, 화학/물리 센서 |
윤주형 | 전기공학과 | juhyungyun@inu.ac.kr | 나노스케일 전기에너지 소자 |
최병조 | 임베디드시스템공학과 | bjc97r@inu.ac.kr | 이동통신 |
이근행 | 정보통신공학과 | ghaenglee@inu.ac.kr | 반도체 집적회로 설계 (RF 집적회로 및 무선 통신 송수신기 시스템 반도체 설계) |
5. 학과 운영 내규
- 취득학점 : 석사과정 24학점, 박사과정 36학점, 석·박사통합과정 : 60학점
- 수강 신청은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으며, 지능형반도체공학과에서 제공되는 모든 교과목에 대해 수강 가능하다.
- 학과 내규는 대학원의 내규에 따름을 원칙으로 한다.